
1. 지방직 7급과 9급의 차이
먼저 지방직 7급과 9급의 차이로는 발령기관의 차이점이 있는데요. 정확히 이해하려면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수도권을 예시로 설명드리자면 서울특별시는 광역자치단체이고 서울특별시 ○○구는 기초자치단체입니다. 경기도는 광역자치단체이며 경기도 ○○시는 기초자치단체입니다.
지방직 7급 시험에 합격하게 되면 광역자치단체인 서울특별시청(시소 속 사업소 포함), 경기도청(도소속 사업소 포함) 소속으로 근무하게 됩니다. 지방직 9급 시험에 합격하게 되면 기초지방자치단체인 서울특별시 ○○구청(동주민센터 등 포함), 경기도 ○○시청(동주민센터 등 포함) 소속으로 근무하게 됩니다.
지방직 7급과 9급 모두 평생 한 지역에서만 근무하게 되며 7급의 경우 광역시 단위로 발령이 나기에 조금 멀리 발령이 날 수도 있습니다.(ex 서울시청에서 근무하다가 서울대공원(사업소) 발령, 경기도청(수원)에서 근무하다가 경기도청북부청사(의정부)로 발령) 지방직 9급의 경우 일반행정직 기준으로 기초자치단체 안에서만 발령이 납니다(ex ○○구청에서 일하다가 주민센터 발령, ○○시청에서 일하다가 보건소 발령)
2. 지방직 7급과 9급의 차이
발령기관의 차이가 있기에 승진 TO 및 직위의 차이가 있습니다. 상급기관인 광역자치단체에 윗직급 승진 TO가 더 많기 때문에 7급 공무원으로 입직 시 9급 공무원보다. 더 높은 직급에서 퇴직할 수 있습니다. (ex 광역 7급은 4급~3급 퇴직, 기초 9급은 6급~5급 퇴직)
기초 9급의 경우 기초에서 7급 승진까지 보통 5년~7년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같은 기간을 준비하여 7급으로 입직 시 5년~7년이라는 승진소요기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광역자치단체에는 9급, 8급 공무원이 거의 없어 기초 9급 또는 8급이 광역자치단체에 인사교류 등을 통해서 전입할 경우 최저 연수로 승진이 가능합니다.(ex 기초 9급이 광역 9급으로 근무 시 7급까지 3년 6개월 소요) 따라서 9급도 광역으로 전입한다면 출신의 차이만 있을 뿐 7급까지는 승진이 빨라 거의 차이가 없게 됩니다.
따라서 '7급 지방직과 9급 지방직의 핵심적인 차이는 일하는 기관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두시면 됩니다.
3. 지방직 7급과 9급의 차이
마지막으로 지방직 7급과 9급의 차이는 하는 일이 다소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분위기도 좀 다른 편입니다.
7급이 근무하게 되는 광역자치단체의 장은 보통 대선후보 등 정치적으로 중요한 인물이고 광역시는 중앙부처와 직접 소통하고 기초에 내릴 정책 등을 짜는 등 다소 머리를 쓰는 일을 수행합니다. 민원은 기초보다 적으나 정책업무 및 의전업무가 많기에 업무강도는 다소 높은 편입니다. 또한 큰 기관의 특성상 화이트칼라느낌이 있어 조직분위기가 다소 딱딱하다고 합니다. 민원이 적고 비상근무 등은 기초보다 적다고 합니다.
9급이 근무하게 되는 기초자치단체는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구민 또는 시민을 위한 일이 주된 일이므로 주로 민원업무가 많은 편입니다. 중앙부처 및 광역시에서 내려오는 업무들을 일선에서 수행하는 것이 주된 업무이므로 민원 업무가 많고 정책업무는 적은 편입니다. 동주민센터 등에 근무 시 육체적 노동도 있는 편이며 기초의 경우 비상근무가 많은 편입니다.(ex 코로나, 구제역, 산불 등) 업무강도는 대체적으로 광역시보다는 낮으나 기초자치단체의 지역유지 및 단체 등이 있어 민원 및 의전업무는 있는 편입니다. 광역시보다는 화이트칼라 느낌이 적어 조직분위기는 유한 편이라고 합니다.(ex 가족 같은 분위기)
오늘은 지방직 7급과 9급의 차이를 크게 3가지 알아보았습니다. 공무원 시험 응시에 관심이 있는 분들께서는 참고하시어 지원해 보시기 바랍니다.
'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형 공기업) 2023년 한국중부발전 상반기 채용공고 및 연봉정보 (9) | 2023.04.06 |
---|---|
(네쇼라) 네이버 쇼핑 라이브 쇼호스트는 한달에 얼마나 벌까? (21) | 2023.03.27 |
돈으로 돈을 버는 직업 대부업 등록 신청 방법 (10) | 2023.03.24 |
(서울시 지방공기업) 서울교통공사 정규직 연봉 정보(서교공) (0) | 2023.03.22 |
지방직공무원의 장점 및 근무환경 정보 (0) | 2023.03.18 |
댓글